반응형

Node.js 4

packages.json

{ "name": "management", //프로젝트 네임 "version": "0.1.0", // 버전명 "private": true, /* public 명령 거부 만약 (내부 레지스트리 등) 특정 레지스트리 만에 출시하는 환경을 원한다면,publishConfig를 이용하여 publish시 registr설정을 덮어쓸수 있다. */ "dependencies": { // 의존성 "@testing-library/jest-dom": "^5.14.1", //버전과 호환 가능 "@testing-library/react": "^11.2.7", // 버전과 호환 가능 "@testing-library/user-event": "^12.8.3", //버전과 호환 가능 "react": "^17.0.2", // 버전과 호환..

Node.js/문법 2023.06.23

설치 및 실행. 명령어

https://www.nodejs.org Node.js Node.js® is a JavaScript runtime built on Chrome's V8 JavaScript engine. nodejs.org 노드에 버전 표기에 대한 내용 1번째자리 : 메이저버전 (대규모변화-고장확률) 2번째자리 : 마이너버전 (신기능 추가) 3번째자리 : 패치버전 (버그 수정) Node . js 버전 확인 - Windows + R : cmd : node --version node를 통한 server.js 실행 npm search (검색어) 어떤 패키지들이 있는지 검색가능(온라인) npm info (패키지이름) 패키지 정보 확인 (온라인) npm ls (패키지이름) 내 패키지에서 검색한 패키지가 어떤 디펜던시에 의해 설치되..

Node.js/문법 2023.06.23

Node.js ?

node . js 공식 사이트에서 내린 정의 Chrome V8 javaScript 엔진으로 빌드된 JavaScript 런타임 입니다. node.js는 이벤트 기반, 논 블로킹 I/O모델을 사용해 가볍고 효율적입니다. node.js의 패키지 생태계인 npm은 세계에서 가장 큰 오픈 소스 라이브러리 생태계이기도 합니다. 블로킹 모델 유저는 커널에게 (유저 -> 커널) read 작업을 요청하고 데이터가 입력될 때까지 대기하다가 데이터가 입력되면 유저에게 ( 커널 -> 유저) 결과가 전달되어야만 유저 자신의 작업에 비로소 복귀 할 수 있다. 말그대로 block이 되고 어플리케이션에서는 다른 작업을 수행하지 못한채 대기 함으로 자원을 낭비하게 된다. 논 블로킹 I/O은 위 방식과 다르게 진행 된다. 유저가 커널에..

Node.js/문법 2023.06.23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