여러분의 후원은 큰 힘이 됩니다. 기업은행 35611080101018
반응형
node . js 공식 사이트에서 내린 정의
Chrome V8 javaScript 엔진으로 빌드된 JavaScript 런타임 입니다.
node.js는 이벤트 기반, 논 블로킹 I/O모델을 사용해 가볍고 효율적입니다.
node.js의 패키지 생태계인 npm은 세계에서 가장 큰 오픈 소스 라이브러리 생태계이기도 합니다.
블로킹 모델
유저는 커널에게 (유저 -> 커널) read 작업을 요청하고
데이터가 입력될 때까지 대기하다가
데이터가 입력되면 유저에게 ( 커널 -> 유저) 결과가 전달되어야만
유저 자신의 작업에 비로소 복귀 할 수 있다.
말그대로 block이 되고 어플리케이션에서는
다른 작업을 수행하지 못한채 대기 함으로
자원을 낭비하게 된다.
논 블로킹 I/O은 위 방식과 다르게 진행 된다.
유저가 커널에게 ( 유저 -> 커널 ) read 작업을 요청하면
데이터 입력 관계 유무에 상관없이 그 순간 바로 결과가 반환된다.
이때 결과가 없다면 메시지(EWOULDBLOCK)이라는 결과를 반환한다.
입력 데이터가 있을 때 까지 1~2번 반복
입력 데이터가 있다면 ( 커널 -> 유저) 결과가 전달 된다.
npm이란 ?
Node Packaged Manager의 약자이다.
말그대로다 node.js로 만들어진 패키지(모듈)을 관리해주는 툴이다.
Reference
Npm API Manual : docs.npmjs.com/about-npm
커뮤니티 사이트 : www.npmjs.com/search?q=print
반응형
'Node.js > 문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ackages.json (0) | 2023.06.23 |
---|---|
설치 및 실행. 명령어 (0) | 2023.06.23 |
Windows Node.js Install (0) | 2023.06.20 |